반응형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 핵심 정리
1. 청문회 주요 의혹 3가지
이재명 정부 초대 내각 인사청문회 슈퍼위크 첫날,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세 가지 주요 의혹을 중심으로 집중 추궁을 받았습니다.
- 보좌진 갑질 의혹
- 보좌진 재취업 방해 의혹
- 이해충돌 논란 (배우자 스톡옵션 관련)
2. 갑질 의혹: 해명과 공방
청문회에서는 음식물 쓰레기가 담긴 쓰레기봉투 사진까지 등장했습니다. 야당은 “보좌관에게 사적 심부름을 시켰다”고 비판했고, 강 후보자는 다음과 같이 해명했습니다.
- “차 안에 남긴 음식물이었다. 보좌관에게 분리수거를 시킨 건 실수였다.”
- “비대 수리는 지역 보좌관에게 ‘조언’을 구한 것일 뿐”
하지만 야당은 “가구 견적 비교, 명품 사오라 지시, 고함, 폭언 등 갑질이 반복됐다”며 다양한 사례를 공개했습니다. 이에 대해 강 후보자는 눈물을 보이며 발달장애 자녀를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3. 보좌진 재취업 방해 의혹
강 후보자가 퇴직한 보좌진에 대해 실업급여 신청을 막고, 취업 방해를 했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 강 후보자 해명: “원하는 방식으로 사직이 처리됐다. 재취업 방해는 없었다.”
- 야당: “법적 조치 예고 문서까지 돌렸다” → 강 후보자: “사실 아니다. 유출된 메시지일 뿐”
4. 이해충돌 의혹 (배우자 스톡옵션)
강 후보자 배우자가 감사로 재직한 바이오벤처기업이 국회 보건복지위 관련 행사에 참여했고, 스톡옵션을 받은 정황이 논란이 됐습니다.
- 강 후보자: “이번 청문회 준비 중 처음 알았다. 스톡옵션은 포기했다.”
- 야당: “사전에 몰랐다는 건 납득하기 어렵다. 국회 사무처 자료 제출 요구”
5. 보좌진 교체 수 논란
보좌진 교체가 너무 잦았다는 지적에 대해:
- 국회 사무처 자료: 5년간 46명
- 강 후보자 측 해명: “중복 인원 제외 시 27명, 출산, 승진 등 개인 사유 많았다.”
정상 범위라고 보기 어렵다는 지적도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6. 갑질 판단은?
현행법상 갑질(직장 내 괴롭힘)은 “업무상 적정 범위를 넘어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주는 행위”로 정의됩니다. 강 후보자는 “고의는 없었다”고 주장했지만, 피해 보좌진은 정반대 진술을 하고 있어 진위 여부는 추가 조사 필요합니다.
7. 청문회 이후 향방은?
여당 내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고, 대통령실도 여론을 살핀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향후 여론조사 및 지지율 추이에 따라 낙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