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1

회전근개 - 어깨 회전 근육? 어깨 충돌 증후군? 안녕하세요! 건강한 움직임을 추구하는 스포츠의학인입니다:)오늘은 회전근개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회전근개회전근개는 어깨 통증과 재활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근육중 하나인데요.다들 회전근개에 대해 한번씩은 들어봤을 겁니다.회전근개는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 이 4개의 근육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각각 알아보겠습니다.극상근극상근와에 기시해서 상완골 대결절에 정지합니다.극상근은 외전을 시작해주는 역할로 많이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극상근은 상완골두를 관절와 아래쪽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외전에 기여합니다.삼각근의 어깨를 위쪽으로 당기는 힘에 대응하여 상완골두가 아래로 돌아가게 해줍니다.극하근견갑골 뒷면에 기시해서 극상근건 부착된 곳 바로 아래 정지합니다.상완골이 60-90도 외전할 때 상완골을 외회전시킵.. 2024. 6. 15.
재활, 교정운동 - 로컬, 글로벌 머슬 안녕하세요! 건강한 움직임을 추구하는 스포츠의학인입니다:)오늘은 교정운동, 재활 등을 할 때 꼭 필요한 내용을 짚고 넘어가보려고 합니다.바로 로컬, 글로벌 머슬입니다.로컬 머슬? 글로벌 머슬?근육을 나누는 체계가 여러 가지 있지만 재활, 교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을 로컬, 글로벌 머슬입니다.쉽게 말하자면 로컬 머슬은 심부 근육이고 글로벌 머슬을 표층 근육을 말하는데요.각 근육군의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로컬 머슬의 특징위치: 깊은 층, 관절 축 근처크기: 작은 크기특징- 주로 type 1 근육(지근): 유산소성 활동 위주 - 피드 포워드: 미리 반응함- 낮은 강도, 느린 속도 활성화- 작은 운동과 자세 조절, 유지- 고유수용기 밀도 높음글로벌 머슬의 특징 위치: 얕은(표) 층, 관절 축에서 멀리 위치.. 2024. 6. 14.
날개뼈 안정화 6편 - 오훼완근, 이두근, 삼두근 장두 안녕하세요! 건강한 움직임을 추구하는 스포츠의학인입니다:)오늘은 날개뼈 안정화 근육 마지막편입니다..!날개뼈 움직임에 대해 생각할 때 간과하거나 생각을 안하게 되는 근육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훼완근 견갑골 오훼돌기에서 시작해서 상완골 내측에 붙습니다.오훼돌기에 대해 간략하게 이야기하자면 오훼완근, 상완 이두근 단두, 소흉근이 붙습니다. 세 근육 중 한 개의 근육이라도 단축이되거나 긴장하게 되면 오훼돌기를 당겨서 견갑골의 전방경사를 만들어 어깨 가동범위 감소나 통증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즉, 라운드 숄더 유발 근육들인 것이죠..! 상완 이두근이두근은 장두와 단두로 나뉩니다.이두근 장두는 견관절와의 상연에 붙고 이두근 단두는 오훼돌기에 부착합니다.두 이두근 모두 날개뼈에 연결이 되어 있어 견관절의 안.. 2024. 6. 13.
날개뼈 안정화 5편 - 승모근 안녕하세요! 건강한 움직임을 추구하는 스포츠의학인입니다:)오늘 벌써 날개뼈 안정화 5편인데요, 오늘은 승모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승모근은 보통 키우기 싫어하는 근육으로 천대받는데요, 오늘 포스팅을 보고 나면 정말 기능적으로 중요한 근육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승모근승모근은 방사형(넓은 부착점에서 좁은 부착점으로 모이는 근육) 근육으로 상, 중, 하부 승모근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보통 앞에서 보이는 곳만 승모근이라고 생각하는데 앞에서 보이는 것은 상부 승모근이고 아래로 크게 자리잡고 있습니다.상부 승모근두개골 아래쪽 뒷면에서 시작해서 경추 1-7번에서 시작해서 견봉에 부착합니다.상부 승모근은 날개뼈를 상방회전, 거상하고 수축하면 목을 반대방향으로 돌리게 합니다.180도 외전의 마지막 부분에서 상.. 2024. 6. 11.
반응형